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

번쩍코딩

프로필사진
  • 글쓰기
  • 관리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RSS

번쩍코딩

검색하기 폼
  • 분류 전체보기 (108)
    • JAVA (6)
      • 남궁성의 자바의 정석 (2)
    • DB (28)
      • ORACLE (21)
    • 메모 (22)
    • 백준[JAVA] (3)
    • Programmers (3)
      • PCCE (3)
    • 수학 (3)
    • 자격증 (12)
      • 정보관리기술사 (6)
      • 정보보안기사 (1)
      • 정보처리기사 (0)
      • SQLD (5)
      • 빅데이터 분석기사 (0)
      • 정보보안 기사 (0)
      • OCP (0)
      • OCJP (0)
    • IT용어 & 정보 (11)
    • 넥사크로 (0)
    • Spring Boot (6)
      • IntelliJ (6)
    • 전자정부프레임워크 (0)
    • 2021~2024 개발일지 기록 (0)
    • 개발관련 책 읽기 (0)
    • HTML&CSS (1)
    • Android (4)
    • Eclipse (1)
    • 로직 연습 (0)
    • Docker (0)
  • 방명록

분류 전체보기 (108)
리스너(Listener)

**안드로이드 리스너(listener)**는 어떤 이벤트(행동)가 발생했을 때 그걸 감지해서 실행할 코드를 정의하는 객체예요.쉽게 말해, “무엇인가 일어났을 때, 이걸 처리해줘!” 라고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.🔹 예를 들어볼게요버튼을 눌렀을 때 어떤 동작을 하도록 만들고 싶다고 해볼게요.이때 버튼에 클릭 리스너 (Click Listener) 를 붙입니다. val button = findViewById(R.id.myButton) button.setOnClickListener { // 이 부분의 코드는 버튼이 눌렸을 때 실행돼요! Toast.makeText(this, "버튼 클릭됨!", Toast.LENGTH_SHORT).show() } setOnClickListener → "버튼 클릭 이벤트"를 듣는 리..

Android 2025. 10. 15. 10:59
pom.xml

artifact : 빌드 결과물pom.xml 전체 구조 요약pom.xml은 크게 아래 5개 블록으로 구성돼요:프로젝트 기본정보 (groupId, artifactId, version)패키징 방식 (jar, war 등)의존성(dependencies) — 필요한 외부 라이브러리빌드 설정(build) — 어떻게 빌드할지 정의플러그인(plugins) — 빌드 시 실행할 도구들 (예: 컴파일러, 테스트, 배포 등)1️⃣ 프로젝트 기본정보 groupId>com.examplegroupId> artifactId>smart-gatewayartifactId> version>1.0.0version> 항목의미예시 groupId회사나 조직의 고유 도메인 이름com.example, kr.go.korpaartifactId실제 프로젝..

JAVA 2025. 10. 15. 10:58
이더넷, 텔넷

🔹 이더넷 (Ethernet)정의:가장 많이 쓰이는 유선 근거리통신망(LAN) 기술컴퓨터, 서버, 네트워크 장비를 케이블(UTP, 광케이블 등)로 연결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특징:OSI 2계층(데이터링크 계층)에서 동작MAC 주소 기반으로 장비 간 통신속도: 예전엔 10Mbps, 지금은 100Mbps, 1Gbps, 10Gbps, 40Gbps, 100Gbps까지 발전예시:우리가 흔히 꽂는 LAN 케이블이 바로 이더넷 케이블🔹 텔넷 (Telnet)정의:네트워크 장비나 서버에 원격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TCP 포트 23번 사용특징:OSI 7계층 중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동작예전에는 서버 관리나 라우터/스위치 설정에 많이 사용단점: 암호화가 안 돼서 (평문 전송), 지금은 보안상 거의 사용하지 않고 SSH..

IT용어 & 정보 2025. 9. 30. 10:16
Daemon

ChatGPT의 말:데몬(daemon, 데몬 프로세스)은 운영체제에서 사용자가 직접 실행하지 않아도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돌면서 특정 작업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에요.특징백그라운드 실행: 사용자가 로그아웃해도 계속 실행됨.자동 시작: 시스템이 부팅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경우가 많음.지속적인 서비스 제공: 요청이 들어오면 응답하거나,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함.**보통 이름 끝에 d**가 붙음 → sshd, httpd, mysqld 같은 것들.예시sshd : 원격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SSH 서버 데몬httpd : 웹 서버(Apache 같은)의 데몬crond : 주기적으로 작업을 실행(cron job)하는 데몬mysqld : MySQL 데이터베이스 서버 데몬즉, 데몬은 운영체제의 "조용한 도우..

IT용어 & 정보 2025. 9. 27. 16:05
Docker 설치 시

다 체크 해야함. WSL needs updating 오류가 발생시 cmd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하고 wsl --update끝나면wsl --shutdown

카테고리 없음 2025. 9. 27. 10:51
웹 소켓

웹소켓(WebSocket)은 웹 브라우저와 서버가 실시간으로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에요.보통 우리가 웹사이트를 이용할 때는 HTTP를 쓰는데, HTTP는요청(request) → 응답(response) 구조라서,클라이언트(브라우저)가 요청해야만 서버가 응답을 보낼 수 있죠.즉, 서버가 먼저 말을 걸 수는 없어요.하지만 채팅, 주식 시세, 게임 같은 서비스는 서버가 먼저 "새로운 데이터가 생겼다!" 하고 알려줘야 하죠.이때 쓰는 게 바로 WebSocket이에요.특징양방향 통신클라이언트 ↔ 서버가 서로 자유롭게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음.실시간성서버에서 이벤트가 생기면 지연 없이 바로 클라이언트에 전달.지속 연결한 번 연결되면 계속 유지되고, 매번 새 연결을 만들 필요가 없음.가벼운 통신HT..

IT용어 & 정보 2025. 9. 26. 15:53
WebRTC

WebRTC(Web Real-Time Communication)는 웹 브라우저나 모바일 앱에서 별도의 플러그인이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실시간으로 음성, 영상,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야.👉 핵심 포인트:실시간 통신: 화상회의, 음성통화, P2P 파일 전송 등을 지원.브라우저 내장: 크롬, 파이어폭스, 사파리 등 최신 브라우저는 WebRTC API를 기본 지원.P2P 방식: 서버를 거치지 않고(초기 연결을 위한 시그널링 서버는 필요), 단말기 간 직접 연결해 지연(latency)을 줄임.보안: 통신은 기본적으로 암호화됨(SRTP, DTLS 등).활용 사례: 구글 미트, 디스코드, 슬랙 화상통화, 네이버 웨일온 같은 서비스.정리하면, WebRTC는 **"브라우저 안에서 바로 화상/음성 채팅이나 ..

IT용어 & 정보 2025. 9. 26. 15:53
큐잉Queueing이란?

ChatGPT의 말:말씀하신 **큐잉(Queuing)**은 영어 단어 queue에서 온 표현으로, 기본적으로 “순서를 기다리며 줄을 서는 것” 혹은 **“작업을 순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대기열에 넣는 것”**을 의미합니다. 맥락에 따라 조금 다르게 쓰이지만, 주로 IT/컴퓨터, 통신, 제조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.간단히 분야별로 정리하면:컴퓨터/프로그래밍여러 작업이나 요청을 대기열(Queue)에 넣어 순서대로 처리하는 것.예: 프린터에 여러 문서를 보내면 문서가 차례로 출력되는데, 이 과정이 큐잉.메시지 큐(MQ) 같은 시스템에서는 서버에 전달된 요청을 큐에 넣고 하나씩 처리.네트워크/통신데이터 패킷, 요청, 이벤트 등을 순서대로 처리하기 위해 대기시키는 것.예: 서버가 동시에 많은 요청을 받을 때 요청..

IT용어 & 정보 2025. 9. 25. 15:00
내부망, 외부망, 사설망, 공인망

🔹 내부망(Internal Network)회사, 관공서, 집안 등 조직 내부에서만 사용하는 네트워크인터넷과 직접 연결되지 않고, 내부 사용자끼리만 통신 가능보통 사설 IP 대역 사용 (예: 192.168.x.x, 10.x.x.x, 172.16~31.x.x)👉 예: 회사에서 직원들만 쓰는 그룹웨어 서버, 집에서 공유기 밑에 연결된 PC·스마트폰끼리 통신🔹 외부망(External Network)말 그대로 외부와 연결된 네트워크, 즉 인터넷내부망과 달리 전 세계 누구나 접속 가능보통 공인 IP 사용👉 예: 네이버, 구글 같은 인터넷 서비스🔹 사설망(Private Network)인터넷에서 직접 접근할 수 없는 네트워크RFC1918에서 정해진 사설 IP 대역을 사용:10.0.0.0 ~ 10.255.255..

IT용어 & 정보 2025. 9. 25. 09:00
Json, XML

JSON이랑 XML은 둘 다 **데이터를 표현하고 교환하기 위한 포맷(형식)**이에요.하지만 생긴 모양과 쓰임새가 달라요.1️⃣ JSON (JavaScript Object Notation)의미: 자바스크립트 객체 표기법 → 지금은 언어에 상관없이 표준 데이터 포맷으로 사용특징사람이 읽기 쉽고 간단함키-값 구조 ({ "key": "value" })웹/앱에서 API 통신 시 가장 많이 사용됨 (특히 REST API)✅ 예시 (사용자 정보) { "id": "user01", "name": "홍길동", "age": 30, "hobbies": ["축구", "독서"] } 2️⃣ XML (eXtensible Markup Language)의미: 확장 가능한 마크업 언어 → HTML처럼 태그 기반특징태그로 감싸서 데이터 ..

IT용어 & 정보 2025. 9. 24. 17:23
이전 1 2 3 4 ··· 11 다음
이전 다음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TAG
  • release period
  • sqld
  • dell 윈도우 재설치
  • sql 테스트 사이트
  • tns:프로토콜 어댑터 오류
  • IntelliJ
  • intellij 무료 버전 설치
  • intellij 프로젝트 생성 방법
  • oracle
  • android studio 구버전
  • codepen 연동
  • 정오표
  • android studio download
  • oracle xe
  • tns:protocol adaptor error
  • intellij 무료 버전 설치 방법
  • dell 윈도우
  • intellij 다운로드 소스 코드 실행 방법
  • 이기적 sql 개발자 이론서+기출문제 정오표
  • sql 노랭이 정오표
  • PCCE
  • intellij 설치 방법
  • codepen 티스토리 연동
  • 노랭이 정오표
  • 웹에서 sql 테스트 사이트
  •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정오표
  • 로직 연습
  • android studio 구 버전
  • dell 윈도우 복구
  • ASCII
more
«   2025/11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 29
30
글 보관함

Blog is powered by Tistory / Designed by Tistory

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