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격증/정보관리기술사
SLA(Service Level Agreement)
번쩍코딩
2023. 10. 24. 14:32
SLA(Service Level Agreement)란 협약 당사자 간에 특히 서비스 제공자가 다른 상대방, 즉 서비스 가입자에게 합의를 통하여 사전에 정의된 수준의 서 비스를 제공하기로 협약을 맺는 것이다.
1. 기업정보전략의 우선순위지침 SLA 정의 : 서비스 공급자와 서비스 사용자 간의 서비스 수준 계약, 협약을 위한 계약서
2. SLA의 구성요소 및 구성도
SLA의 구성도
SLA의 구성요소
기본계약서 : SLA의 기본적인 협약서
SOW : 업무 지침서, 정의서
서비스 카탈로그 : 업무 항목 리스트
관리 지표 : 항목에 대한 최소, 최대치
항목 평가기준 : 각 항목 점수 산식
SLO : 목표 수준 치, 달성목표
SLA 보고서 : 월간, 분기별 성과 보고서
3. SLA 평가항목
1) HW(HA)
(1) 서비스 가동률 : 서비스 가동을 위한 시간
(2) 중복 장애 발생률 : 중복 장애 발생건수 확률
2) SW
(1) 장애, 오류 건수 : 총 5건 이하 지정
(2) SR 적기처리율 : SR건수를 총 건수에 나눔
3) 네트워크
(1) 네트워크 가동률 : 전체 네트워크 가동시간
(2) 네트워크 장애건수 : 총 3건 이하 지정
* 참고
ITPE기술사회 기술사 감리사 PMP... : 네이버 카페
정보관리기술사, PMP자격증, 정보처리기술사, 컴퓨터시스템응용, 감리사, 통신기술사, Agile, ICT전문가
cafe.naver.com